지명유래(地名由來)

여천동(麗川洞)

석창성과 퇴미산성 대통마을의 선사주거지 등의 유적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시대까지도 여수지방의 중심마을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여수현의 치소로 조선시대에는 여수면과 현내면으로 불리며 행정의 중심 마을이었으나 근대식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진 1914년이 되면서 좌수영이 있던 구항지역으로 행정의 기능이 옮겨가게 되어 여천이란 이름도 새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여천동(麗川洞)은 선원(仙源), 여천(麗川), 화장(禾長) 3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도농복합형태의 지역으로 무선·화장지구 택지개발로 인한 주택 및 상가의 증가로 신도심이 형성되고 있다.

선원동(仙源洞)

근대식 행정구역 개편이 되던 1914년에 무선마을과 도원마을의 끝글자를 취해서 만들어진 행정리의 이름으로 무선, 도원마을과 가곡, 반월마을 등이 포함되어있다. 무선(舞仙)은 조선중기까지 무상원이라고 하는 역원이 있었던 곳으로 임진왜란 후에 역이 덕양으로 옮겨갔으나 무상원이란 이름은 무선으로 변하여 마을이름이 되었다 한다. 마을 뒷산인 무선산에는 예로부터 기우제를 지냈던 기우단이 있는데 자연과 함께 살아온 선조들의 흔적이 전해져 오고 있다.

도원(桃源)마을

한자말의 뜻인 복숭아나무가 많아서 지어진 이름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염전의 방죽이 있어서 도니(塗泥)라고 했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비슷한 이름으로 바꾸다보니 부르게 된 이름이다. 일제시대까지도 소금을 만들던 염전이 있어서 소금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반월(半月)마을

퇴미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뻗은 마을 뒷산이 반달처럼 생겨서 지어진 이름이다. 여수 현의 치소였던 석창을 경계하기 위한 초병들이 퇴미산에서 파수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는데 최근 반월마을 뒷산의 반월성과 퇴미산에 있는 퇴미산성을 중심으로 많은 양의 옛 기와와 토기, 자기류 등이 발견되어 지역의 역사학자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어 여수현을 중심으로 한 옛 역사가 많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곡(佳谷)마을

퇴미산 남쪽에 있었던 마을로 택지가 조성되면서 마을의 옛 모습은 사라지고 주택지와 아파트단지로 변모하였다. 마을 이름이 한자로 아름다울 가()와 골 곡()으로 이루어져 있어 마을이 아름다워서 여수현의 현령이 지었다고 전해지는데 이것은 한자를 뜻풀이하면서 지어진 이야기로 보이며 가곡은 변두리의 뜻인 '갓-골'을 소리 옮김하여 표기한 마을이름이다.

여천동(麗川洞)

내동, 월평, 석창마을을 합한 법정동 이름으로 1949년 8월13일 여수군이 여천군으로 개칭되면서 여수군 이름을 대신한 군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던 지명이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서 여수반도의 중심마을인 현 석창성지는 한때 여수현의 치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의 기록을 보면 이 일대를 여수면이라 하여 구항이 있던 좌수영과 구별하여 불렀던 것을 알 수 있다.

내동(內洞)마을

비봉산 남서쪽에 자리한 마을로 골짜기 안에 마을이 들어서서 안골이라 하던 것을 한자로 내동이라 고쳐부르는 곳이다. 마을 안쪽으로 부채들이란 들이 있는데 예전에는 절이 있어 부처가 있던 들이라 하여 '부채들'로 전해오고 있다.

월평(月平)마을

역몰 또는 역밭이라 부르던 마을 이름을 고쳐서 달밭의 의미인 월평으로 부르게 되었다. 역몰이나 역밭으로 불렀던 것은 석창성이 있던 시절에는 성의 역졸들이 마을을 이루고 살아서인데 신분제가 사라진 뒤에 역몰이란 이름이 좋지 않아서 이웃 월산마을 앞들에 자리잡은 마을이란 뜻으로 월평이란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석창(石倉)

석창성터가 있는 마을로 석창성은 조선시대에 축성되었으나 정확한 연대가 확실치 않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을 보면 여수목책도니성이라하여 여수현의 성터가 세종 때만 하더라도 목책을 하고 진흙으로 담을 쌓았던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석성이 쌓아진 것은 그 이후로 짐작될 뿐이다. 석창성지는 현재 유적지로 복원하기 위한 계획이 추진중이다. 택지개발지역으로 지정되어 새로운 시가지가 형성되고 있는 화장동(禾長洞)은 화산과 군장이란 마을 이름에서 한 글자씩을 취하여 만들어진 동명으로 1914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1789년 조선시대 호구총수에는 대통마을만이 기록에 전하고 있다. 최근 택지조성으로 실시하였던 1, 2차에 걸친 문화유적 발굴조사에서 청동기 시대부터 철기시대로 이어지는 선사시대 주거지와 고인돌을 비롯하여, 원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를 망라한 역사시대의 주거지와 민묘 등 다양한 형태의 유물이 발견되어 교육 및 관광자료화 하는 유물전시관 건립이 계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