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유래(由來)

임진왜란 당시 해주오씨(海州吳氏)가 피난길에 정착하였다는 유래는 있으나 그 연대와 입도경유에 대해서 아는 사람이 없으며 그후 40년후에 광산김씨인 김지열씨 일가가 입향, 마을을 형성하였으며 창원황씨(昌源黃氏), 전주이씨(全州李氏) 등이 차례로 입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지명유래(地名由來)

섬의 산봉우리가 하나이고 섬 모양이 큰새가 앉아 있는 형세라하여 자리좌()자, 새 봉()자를 써 좌봉도(座鳳島)라 불렀다하며 연대를 알 수 없으나 봉중에도 붉은새가 길조라하여 자봉(紫烽)이라 고쳐 불렀으나 한일합방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일본 관헌들에 의해 쓰기쉽고 부르기 쉽도록 자봉도(自峰島)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음.

웃몰(上村)[마을]

자봉마을의 위쪽에 있는 마을.

아랫몰(下村)[마을]

자봉마을의 아랫쪽에 있는 마을.

중등몰(中村)[마을]

자봉마을의 중간에 있는 마을.

샛터몰(新基村)[마을]

자봉마을의 동쪽에 있는 마을. 새로 터를 만들어 집을 지었다고 함.

당산나무(堂山木)[나무]

자봉도 상봉에 약 200여년된 팽나무 당제를 모시던 곳.

목넘어[목]

자봉마을 동쪽에 있는 목 작은 목의 사이를 건너가는 바위 목이 있는 주변.

서끝밭[들]

자봉도 서쪽에 있는 들.

뒷면들[들]

자봉마을 북쪽에 있는 들. 마을 뒤에 있다고 함.

당산제각(堂山祭閣)[당]

자봉도 상봉에 있는 당제를 모시는 바위 제각 주위에는 약 200여년 된 팽나무가 있으며, 이 바위 제각은 인공적으로 다듬은 것처럼 처마식으로 되어 있고 매년 음력 정월에 일정을 잡아 풍어제로 마을 안녕을 빌며 10여년 전부터는 당제를 지내지 않음.

무너미[목]

자봉도 섬에서 작은섬으로 건너가는 바위. 목에 태풍이 불면 파도가 산더미처럼 밀려드는 목.

상바구(上岩)[바위]

자봉마을 동쪽에 비스듬히 누워있는 10여평 정도의 넓고 큰 바위 옛부터 이 바위가 울안에 들어오면 마을에 상스로운 일이 생겼다하여 한때는 이 바위에 울타리를 막아 직접 보이지 않게 하면서 이 바위를 숭상했다는 전설이 있음.

달목끝(큰산)[산]

자봉마을 서쪽에 있는 목. 달이 뜨는 목처럼 생겼다 함.

자봉산(큰산)[산]

자봉마을의 바로 뒤에 있는 산당 산나무와 제각이 있고, 산의 높이는 154m가량이다.

상목끝[목]

자봉마을 위쪽 약 200m 지점에 있는 목.

홀심여[여]

자봉마을 서남쪽에 있는 여. 홀로 외롭게 떨어져 있음.

운목끝[목]

자봉마을 서쪽 약 700m 지점에 있는 목. 목 끝에 움푹 들어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