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창환 전남 행정부지사, 여수시장 적임자인가… 시민의 눈으로 본 중립성 논란
- 날짜
- 2025.10.16
- 조회수
- 19
[아시아일보/김재오 호남본부장]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명창환 전라남도 행정부지사가 여수시장 출마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직 재임 시절의 행보를 둘러싼 여러 논란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는 오랜 행정 경험을 지닌 공무원으로 평가받지만, 일부에서는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성과 행정의 균형감이 충분히 검증됐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SNS 발언으로 불거진 중립성 논란
2025년 1월, 명 부지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대통령의 ‘부정선거’ 관련 발언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부정선거 주장은 가짜뉴스에 불과하다”는 취지로 강하게 반박했지만, 현직 고위 공무원의 공개적 정치현안 발언이라는 점에서 논란이 일었다.
정치적 중립 의무를 명시한 지방공무원법 제57조에 비춰볼 때 “적절치 못한 표현이었다”는 지적이 제기됐으며, 결국 명 부지사는 글을 삭제했다.
현재까지 이 사안에 대해 공식적인 징계나 수사로 이어진 정황은 없지만, 고위직 공무원의 발언 수위에 대한 시민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 ‘섬박람회 예산 브리핑’의 적절성 논쟁
올해 9월 29일, 명 부지사는 전남도청 브리핑룸에서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지원 계획과 예산 규모를 직접 발표했다.
당시 전남도는 총 1,611억 원의 예산 투입 계획을 밝히며 “부지사가 TF 단장으로서 브리핑을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수시장 출마가 유력시되는 시점에 도정 브리핑을 직접 주도한 것은 정치적 해석을 낳을 수 있다”며 공직자 신분을 이용한 사전 노출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전남도 측은 “업무 수행의 일환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의문은 완전히 가라앉지 않았다.
▲ 명예퇴직과 출마 행보, 법적 절차 문제는 없지만…
9월 중순, 명 부지사는 행정안전부에 명예퇴직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위 공무원이 선거 출마를 위해 명예퇴직하는 것은 법적으로 허용된 절차이며, 현재까지 절차상 하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퇴직 직전까지 공적 행사에 적극적으로 등장한 점은 선거를 앞둔 사전 인지도 부각 행보로 비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여수시민의 선택, 경력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
여수시민들은 이제 묻고 있다.행정 경험이 풍부하다는 이유만으로, 공직자의 기본인 중립성과 절제된 언행이 흔들려도 괜찮은가.
명창환 전 부지사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두루 거친 풍부한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하지만 시민이 기대하는 시장은 단순히 ‘경험이 많은 행정가’가 아니라, 시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투명하게 행정을 이끌 인물이다.
그가 과연 그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행보가 말해줄 것이다.
▲ 시민의 눈높이에서의 검증 필요
지금까지 명 부지사에게 적용된 법적 제재는 없다.
그러나 정치적 중립과 공직윤리는 법 위반 이전에 시민의 눈높이로 판단받는 문제다.
공직자로서의 절제, 그리고 후보로서의 책임감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점이다.
여수의 미래는 특정 인물의 경력보다 시민의 신뢰 위에 세워져야 한다.
여수시민의 선택은 단순한 투표가 아니라, 투명한 행정과 깨끗한 정치에 대한 요구의 표현이다.
이제 시민의 시간이다.
여수시민의 눈과 귀 앞에 모든 후보가 정직하게 서야 할 때다.
그는 오랜 행정 경험을 지닌 공무원으로 평가받지만, 일부에서는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성과 행정의 균형감이 충분히 검증됐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SNS 발언으로 불거진 중립성 논란
2025년 1월, 명 부지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대통령의 ‘부정선거’ 관련 발언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부정선거 주장은 가짜뉴스에 불과하다”는 취지로 강하게 반박했지만, 현직 고위 공무원의 공개적 정치현안 발언이라는 점에서 논란이 일었다.
정치적 중립 의무를 명시한 지방공무원법 제57조에 비춰볼 때 “적절치 못한 표현이었다”는 지적이 제기됐으며, 결국 명 부지사는 글을 삭제했다.
현재까지 이 사안에 대해 공식적인 징계나 수사로 이어진 정황은 없지만, 고위직 공무원의 발언 수위에 대한 시민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 ‘섬박람회 예산 브리핑’의 적절성 논쟁
올해 9월 29일, 명 부지사는 전남도청 브리핑룸에서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지원 계획과 예산 규모를 직접 발표했다.
당시 전남도는 총 1,611억 원의 예산 투입 계획을 밝히며 “부지사가 TF 단장으로서 브리핑을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수시장 출마가 유력시되는 시점에 도정 브리핑을 직접 주도한 것은 정치적 해석을 낳을 수 있다”며 공직자 신분을 이용한 사전 노출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전남도 측은 “업무 수행의 일환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의문은 완전히 가라앉지 않았다.
▲ 명예퇴직과 출마 행보, 법적 절차 문제는 없지만…
9월 중순, 명 부지사는 행정안전부에 명예퇴직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위 공무원이 선거 출마를 위해 명예퇴직하는 것은 법적으로 허용된 절차이며, 현재까지 절차상 하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퇴직 직전까지 공적 행사에 적극적으로 등장한 점은 선거를 앞둔 사전 인지도 부각 행보로 비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여수시민의 선택, 경력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
여수시민들은 이제 묻고 있다.행정 경험이 풍부하다는 이유만으로, 공직자의 기본인 중립성과 절제된 언행이 흔들려도 괜찮은가.
명창환 전 부지사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두루 거친 풍부한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하지만 시민이 기대하는 시장은 단순히 ‘경험이 많은 행정가’가 아니라, 시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투명하게 행정을 이끌 인물이다.
그가 과연 그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행보가 말해줄 것이다.
▲ 시민의 눈높이에서의 검증 필요
지금까지 명 부지사에게 적용된 법적 제재는 없다.
그러나 정치적 중립과 공직윤리는 법 위반 이전에 시민의 눈높이로 판단받는 문제다.
공직자로서의 절제, 그리고 후보로서의 책임감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점이다.
여수의 미래는 특정 인물의 경력보다 시민의 신뢰 위에 세워져야 한다.
여수시민의 선택은 단순한 투표가 아니라, 투명한 행정과 깨끗한 정치에 대한 요구의 표현이다.
이제 시민의 시간이다.
여수시민의 눈과 귀 앞에 모든 후보가 정직하게 서야 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