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취약지
계 | 항포구 | 인구밀집 지역 | 영세민 밀집 지역 | 침수지역 | 집단수용 시설 | 관광지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721 | 103.439 | 70 | 17.687 | 86 | 28.192 | 20 | 2.250 | 10 | 3.728 | 27 | 1.373 | 34 | 14.644 |
하수구 | 웅덩이 | 전염병 발생지역 | 쓰레기장 | 가축 사육장 | 시장 | 기타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개소 | ㎢ |
1 | 0.005 | 5 | 0.828 | 3 | 0.153 | 69 | 11.135 | 314 | 1.75 | 13 | 5.007 | 69 | 16.687 |
주민 자율 방역단 구성
계 | 항포구 | 영세민밀집지역 | 침수지역 | 공단지역 | |||||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308 | 457 | 11 | 15 | 14 | 25 | 6 | 8 | 0 | 0 |
산업현장 | 가축사육장 | 시장 | 아파트지역 | 자연마을 |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단수 | 인원수 |
0 | 0 | 12 | 12 | 6 | 10 | 34 | 67 | 225 | 320 |
방역장비 확보
구분 | 계 | 차량용 | 휴대용 | ULV | 방역특장차 |
---|---|---|---|---|---|
계 | 538 | 5 | 522 | 10 | 1 |
보건소 | 18 | 1 | 8 | 8 | 1 |
읍면동 | 520 | 4 | 514 | 2 | 0 |
살충살균소독
감염병 발생예방을 위하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여 파리, 모기 등 위생 해충을 구제하고 있으며 특히, 감염병이 유행하는 하절기에는 분무방제와 유충구 제로 집중적인 방제활동을 실시합니다.
- 기간 : 연중
- 대상 : 감염병 발생 우려지역, 쓰레기 적환장, 재활용장, 사회복지시설, 민원지역 등
- 방법 : 주 1회 잔류분무 또는 가열연막
- 일본뇌염 유행 및 민원신고시 연막소독
유충구제
- 기간 : 11월 ∼ 다음해 3월
- 대상 : 웅덩이, 갈대밭, 영세민밀집지역, 유원지등
- 방법 : 주1회 유충조사 및 유충 구제제 살포
- 한 컵 정도의 고인 물에서도 모기 유충이 서식하므로 소량의 고인물 (마당이나 옥상의 폐타이어, 빈깡통, 페트병,화분 받침대 등) 제거는 주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 유충이 많은 정원내 연못에는 고기를 키우시고, 소독의무 대상시설은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해야 합니다.
방역(모기유충)신고센터 운영
기간
연중
신고처
보건행정과 감염병대응팀(659-4969)
모기 유충구제의 효과와 중요성 : 장구벌레 (모기유충) 한 마리를 잡으면 모기 500 마리 박멸효과!
모기는 일본뇌염, 말라리아 등 감염병을 매개·전파하는 곤충일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우리들을 가장 귀찮게 하는 해충으로 지금까지의 모기방제는 주로 성충을 구제하는 연막소독방법을 사용하여 왔습니다. 그 결과 상당한 방제성과를 거두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그러나 연막소독방법 만으로 모기를 효과적으로 박멸하는 데는 그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과 환경변화로 인하여 여름철은 물론 겨울철에도 모기의 발생과 흡혈 활동이 증가하고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제방법의 강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모기는 그 종류에 따라 유충의 서식장소와 흡혈활동 시간대가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모기의 유충(장구벌레)은 물에서만 발견되기 때문에 모기유충 발생장소를 찾아 방제를 한다면 성충구제 위주의 연막방제방법보다 훨씬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원천적인 방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모기의 생활사를 잠깐 살펴보면, 도시 내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이고 있다는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경우 주로 하수구, 개천, 웅덩이 등의 생활하수를 비롯한 고인 물에 알을 낳은 후 (1회 약50∼150개 산란)성충이 되기까지 물 속에서 약 7∼14일간 유충으로 지내고 성충이 되어서는 주로 야간에 흡혈하고 주간에는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암모기 1마리가 일생동안 4∼5회에 걸쳐 약 200∼750개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빨간집모기의 변종인 지하집모기 (Culex pipiens molestus)는 아파트나 주택, 또는 대형건물 지하 보일러실의 폐수 저장 탱크, 심지어 빈깡통, 페트병 등 한컵정도의 물이 고인 곳만 있어도 산란하고, 겨울철에도 실내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흡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유충구제 작업은 하천이나 하수구, 웅덩이 등 물 고인 곳에는 유충구제제를 정기적으로 살포하고, 공터나 숲 주변에 버려진 폐타이어, 빈깡통, 페트병 등 소규모 용기에 고인 물은 제거하며, 웅덩이는 매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각 가정에서도 모기유충 서식처를 찾아 제거하면 모기의 발생과 번식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든다면 지하 보일러실의 폐수저장탱크나 옥상 등에 보관하고 있는 물고인 용기에 유충구제제를 살포하거나 물을 제거하여 모기 발생과 번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잔류분무와 가열연막 방제비교
구분 | 분무소독 | 연막소독 | 유충구제 |
---|---|---|---|
장점 |
|
|
|
단점 |
|
|
|
친환경 방역소독장비 운영
해충기피제 분사기 | 친환경 유인살충기(포충기) | |
---|---|---|
운영 시기 | 연중 | 3월~11월 |
설치 장소 | 공원, 등산로 등 284개소 | 모기 밀집 지역 및 방역취약지 등 429개소 |